K패스 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 지하철 정기권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무엇이 내게 가장 맞는지 선택에 혼란이 있을 수 있다.
이번에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기능이 많이 보완되어 5월 1일부터 K패스 교통카드가 새롭게 출시되었다. 서울지역의 교통카드라면 올해 초부터 서울시에서 시범운영 중인 기후동행카드가 있다. 그리고 오래전부터 사용하였던 지하철 정기권으로도 대중교통 이용요금을 절약할 수 있었다.
오늘은 K패스 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 지하철 정기권 교통 카드의 차이를 철저히 비교해 본다.
K패스 교통카드
기존 알뜰카드 이용 시 불편하고 복잡했던 부분들을 보완하여 새롭게 출시된 전국적인 대중교통 할인카드이다. 기본 골자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최대 월 60회분까지 20%~53.3%까지 마일리지로 적립하여 익월에 현금으로 되돌려준다는 내용이다.
대중교통 출퇴근자라면 하루 최소 2번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것이고, 정기 출퇴근자가 아니더라고 한 달에 15회 정도는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을까. 15회 이상 이용한다면 굳이 마다할 이유는 없을 듯하다.
K패스 교통카드 발급방법
그러나 일반적인 교통카드를 구입하여 여 사용할 수는 없고 신용 카드사에서 K패스 전용카드를 발급받은 후, K 패스 서비스를 연결해야 한다. K패스 누리집 홈페이지에서 카드사별 정산방식에 따른 분류를 참고하여 신청할 수 있다.
K패스 교통카드의 할인 범위는 일반인 이용요금의 20%, 청년(만 19세~34세)은 30%, 저소득층은 53.5%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연단위로 따져보아도 혜택이 작지만은 않다. K패스 교통카드는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며 정부와 지자체에서 반반 부담한다. 서울시만 지자체에서 60%를 부담한다.
각 카드사에서 K패스 전용카드를 발급받았다면 K패스 누리집 홈페이지에 가입하고 카드정보와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이 가능하다. 기존에 알뜰카드를 사용하였다면 별도의 회원 가입 없이 카드정보 입력 후 K패스 회원전환 신청을 하면 된다.
카드 발급은 자신과 맞는 카드사를 선택하여 신청하면 되며, 카드사에서 요구하는 전월 실적을 채우지 못했다 하더라도 K패스 교통카드 할인을 받는 것에는 영향이 없다. 그저 카드사의 기타 혜택을 받지 못할 뿐이다.
카드사에서 내놓은 카드 종류에 따라 익월 환급금을 현금 입금이 아닌 결제 금액에서 제하기도 하는 것 같다. 지인은 현금 입금이 한번도 안되었다고 해서 확인해보니, 결제 금액에서 제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었다. 따로 선택한 건 아니라고 하니 카드발급 시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
인구가 10만 명 미만인 기초자치단체에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되어 있다면 K패스 교통카드 이용은 불가하다. 현재 강원에 8곳 (속초,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전북에 8곳 (김제, 고창, 부안,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경북에 12곳 (문경, 예천, 의성,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봉화, 울진, 울릉), 전남에 11곳 (고흥, 화순, 영암, 곡성, 구례, 보성, 장흥, 강진, 함평, 완도, 진도)이 있다.
[2025.02.06 Update]
GTX-A가 수서~동탄역 구간에 이어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까지 개통 운행되면서, 교통카드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다. 빠른 만큼 그에 따른 교통비도 감수해야 하는 만큼, 할인 적용을 받을 수 있는 K-패스 교통카드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GTX 이용 시, 일반 카드 사용과 K패스 교통카드 사용시의 요금을 비교해 보았다.
기후동행카드
서울시내 대중교통을 선충전 금액으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카드로 따릉이나 한강 리버버스도 이용하고자 한다면 그에 해당하는 금액을 충전하여 이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도 일반 충전과 청년층 충전으로 나뉘며, 일반권은 62,000원과 65,000원(따릉이 포함)이 있으며 청년층 충전은 55,000원과 58,000원(따릉이 포함)이 있다.
K패스 교통카드와는 달리 청년층의 나이를 기존의 만 19세~34세에서 39세로 확대하여 적용키로 하였으며, 신용 카드가 아닌 일반 실물 카드를 3,000원에 구입하거나 모바일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 발급방법
구입한 실물 카드는 티머니&페이 홈페이지에서 카드 등록을 하고 매월 충전하여 사용가능하고 모바일 카드는 앱에서 발급받고 매월 충전 후 사용가능하다. 모바일 카드 발급과 충전 방법은 티머니&페이 홈페이지의 이용가이드를 참고하면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며, 서울 내에서도 서울 면허 버스나 같은 노선이더라도 서울 지역 내에서만 적용이 되기 때문에 이용 가능 구간을 필히 미리 체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하철, 버스에서 내릴 때 카드 태그는 필수다. 만약 충전기간 내 2번의 미태그가 발생한다면 24시간 카드 사용이 정지된다.
[2025.02.06 Update]
기후동행카드는 위와 같은 이유로, GTX-A 이용시 적용을 받지 못한다. GTX를 많이 이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보다는 K패스 교통카드를 추천한다.
지하철 정기권
자신이 항상 이용하는 구간이 장거리 구간이거나 신분당선이라면 30%가량의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지하철 정기권을 구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자신의 이용 구간에 따라 61,600원~123,400원의 정기권을 구매하여 30일간 60회까지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30% 저렴하게 이용하는 셈이다.
이상으로 대중교통 이용 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과 자주 이용하는 구간을 고려하여 가장 유리한 카드가 어떤 카드인지 체크하고 고물가 시대에 교통요금이라도 절약할 수 있다면 좋겠다.
GTX A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 정보 노선 및 시간표 한눈에 정리!
GTX A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 정보 노선 및 시간표 한눈에 정리!
GTX-A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이 2024년 12월 28일부터 개통되었다. KTX가 생기고 SRT가 생기면서 전국을 빠른 시간에 이동할 수 있어 좋았는데, 이제는 파주에서 서울역까지 GTX를 타면 20여분으로 순
huibud.com
한강 수상 버스 일반 급행 요금과 노선 선착장 누리 가람 한강 수상 택시는?
한강 수상 버스 일반 급행 요금과 노선 선착장 누리 가람 한강 수상 택시는?
한강 수상 버스 시대가 열린다고 한다. 이미 한강 수상 택시가 실패로 끝난 이력이 있는데 이번에는 대중화에 성공할 수 있을까. 집 근처에서 빠른 지하철을 타고 출퇴근하던 사람들이, 선착장
huibud.com
모바일 IC 운전면허증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방법 비용 갱신 재발급 QR발급
모바일 IC 운전면허증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방법 비용 갱신 재발급 QR발급
모바일 IC 운전면허증, 영문 운전면허증을 발급받고자 한다면 주목해 보자. 요즘은 디지털 신분증으로의 전환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뿐 아니라 모바일 운전면허증에 대한 관심이 높다. 또한 외
huibud.com
'복지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바우처 대상 신청 잔액 조회 사용 재발급 동절기 하절기 임산부 지원 (1) | 2024.11.26 |
---|---|
디지털 관광주민증X코레일. 열차 요금 40% 할인 쿠폰 받는 방법 (0) | 2024.10.12 |
디지털 관광주민증 지역 추가 발급 방법과 탈퇴 삭제 방법 (0) | 2024.10.09 |
디지털 관광주민증 콜라보 야놀자 쿠폰 발급 받고 추가 할인 받기 (0) | 2024.10.01 |
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 방법, 사용 방법 및 여행지 할인 혜택 확인 방법 (0) |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