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용어4

영화 용어. 느와르, 디스토피아, 포스트 아포칼립스, 퀴어 무비 등 영화 장르상 많이 나오는 용어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많이 들어본 용어들이고 뜻도 어렴풋이 알고는 있는 용어들이나, 전문적으로 정의된 지식을 쌓아보자. 느와르, 유토피아와는 반대의 개념인 디스토피아, 아포칼립스와 포스트 아포칼립스, 퀴어 무비, 로드 무비, 크리처 무비에 대해 알아본다.   느와르, 누아르 (Noir)느와르는 범죄나 사회 윤리와 같은 소재로 어둡고 진지한 분위기의 영화를 말한다. 이는 명확하게 단정 지을 수 있는 정의가 있기보다는 전체적 분위기를 통해 평론가들에 의해 느와르로 분류된다고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범죄 느와르, 공포 느와르, 갱스터 느와르, SF 느와르 등으로 분류된다.느와르라고 하면 우리는 홍콩의 쌍권총과 선글라스, 입에 문 성냥개비와 담배 한 개비 등 한창 풍미했던 홍콩 .. 2024. 6. 3.
영화 용어 맥거핀, 페르소나, 시퀀스, 리부트, 플래시백. 맥락없이 애매모호. 요 근래 영화 용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알아보고 있다. 그러다 보니 여기저기서 아는 것도 같으나 그렇다고 정확히 아는 건 아닌 것들이 마구마구 쏟아져 나온다. 대충은 아는데 정확히 설명은 안 되는 그런 애매모호한 영화 용어들. 어떤 주제로 구분 지어 묶기도 맥락이 없는 이것저것을 모아 보았다. 맥락 없지만 애매모호한 영화 용어맥거핀 (Macguffin)페르소나 (Persona)시퀀스 (Sequence)리부트 (Reboot)플래시백 (Falshback) 맥거핀 (Macguffin)속임수, 미끼라는 뜻으로 영화에서 관객들의 기대 심리를 배반함으로써 '헛다리 짚기'의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서스펜스의 대가 알프레드 히치콕이 고안한 극적 장치로 그는 관객의 주의를 끌다가 놓아버리는 조절을 통해 몰입과 이완의 .. 2024. 5. 5.
영화 용어 리메이크, 패러디, 패스티쉬, 오마주. 원작의 존재가 필수. 영화 중에 리메이크다. 패러디다, 오마주다 하는 얘기는 많이 들어보았다. 뭔가 원작을 가지고 다시 만들거나 풍자하거나 비슷하게 따라한다거나. 뭐 그 정도로 생각했다. 그다지 크게 틀린 것은 아닌 듯하다. 그러나 영화 용어에서 정의하는 정확한 내용을 한 번 알아보려 한다. 패스티쉬 또는 패스티시라고 표기하는 이 용어는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리메이크 영화 (Remake Film)이미 만들어진 영화와 동일한 내용으로 다시 만들어진 영화를 말한다. 대중적으로 성공하였거나 작품성에서 인정받은 원작을 그 시대와 문화에 맞춰 재탄생 시켜 이전의 대중적 성공을 기대할 목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대표적으로는 '오션즈 일레븐', '토마스 크라운 어페어', '이탈리안 잡', '스카페이스' 등이 있다. 또한 원작의 유명.. 2024. 5. 2.
영화 용어 오컬트와 컬트. 초자연 신비주의와 광신도적 영화광의 산물. 영화의 장르를 보면 오컬트라는 것이 있다. 그리고 우리가 자주 쓰는 컬트 영화도 있다. 이 둘은 같은 컬트로 취급하여 오컬트를 컬트의 사촌 정도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것이 아니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 두 용어를 알아보며 정말 무지했다는 것과 정말 헷갈리는 용어들이란 생각이 들었다. 이제는 제대로 알고 넘어가자.   오컬트 무비 (Occultism Movie)오컬트는 '감추어진 것들, 비밀스러운 것들'을 가리키는 라틴어 오컬투스(Occultus)에서 파생된 용어이다. 신비주의, 초자연주의, 점성술과 같은 의미를 지니며 초자연적인 현상이나 악령, 영혼과의 교신, 점, 사후세계 등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일종의 심령 영화이다. 공포 영화나 SF 영화의 한 장르라고도 할 수 있다.악마의 실체와 존재를 .. 2024. 4. 26.

TOP

Designed by 티스토리